반응형

맞벌이 육아를 하는 부모와 자녀를 위한 그림책

<행복이 시작되는 곳>

2020년 우리나라의 맞벌이 가구 비율을 보면 45.4%입니다.

특히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는 30, 40대 가정은 50%가 넘죠. 두 가정 중 한 가정은 맞벌이라는 통계입니다.

 

"우리는 왜 맞벌이를 선택했나요?"

대부분의 가정에서 이렇게 대답할 겁니다. 경제적 자유와 조금 더 여유로운 삶, 곧 행복 때문이죠.

 

그렇다면 맞벌이 육아를 하고 계신 부모님들 지금 행복하신가요?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맞벌이를 하면 소소한 것부터 크고 작은 문제까지 힘든 부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워킹맘이라 늘 바쁘고 시간에 쫓겨 살아요.

육아와 가사노동, 일까지 병행해야 하기에 피곤에 쩔어사는 기분입니다.

과연 나는 행복한가라는 의문을 갖게 되죠.

돈을 번다고 더 여유로운 것 같지도 않아요. 정말 아이러니입니다.

 

그런 여러분께 권하고 싶은 책 <행복이 시작되는 곳>입니다.

 

 

 

 

맞벌이 육아에서 행복 찾기

"행복을 찾고 있니?" 그림책은 이 질문으로 시작합니다.

아이는 행복을 찾기 위해 그것을 이해해 보려고 노력하기도 하고, 모으거나 보호하려고 하죠.

잡으려고 하지만 쉽지 않아요.

 

내가 기대했던 것과 다를 수도 있고, 항상 행복하다고 느낄 수는 없다고 조언합니다.

그리고 행복은 항상 거기에 있다고...

너에게서 시작되는 거라고 이야기 해줍니다.


맞벌이 육아를 하시는 부모님들, 혹시 미래의 행복을 위해 오늘의 행복을 뒤로 미루고 있지는 않은가요?

내일을 위해 오늘을 희생하는 삶을 살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아이들에게도 여러분에게도 지금 이 순간이 중요합니다.

먼저 지금 우리가 행복한 일들을 찾아보세요.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오늘, 행복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하버드 대학교 성인 발달연구팀은 75년간 남성 724명의 인생을 추적합니다.

연구 대상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 집단은 하버드 대학생이었고 두 번째 집단은 보스턴의 가장 가난한 지역에서 태어난 소년들이었습니다.

연구는 그들의 아내와 자녀, 손자들까지로 확장되어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들은 연구를 통해 무엇을 깨달았을까요?

하버드를 졸업하면 행복하다였을까요?

 

연구에서 그들이 찾은 메시지는 좋은 관계가 우리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연구 결과 가족, 친구, 공동체와의 사회적 연결이 긴밀할수록 더 행복하고 사회적으로도 건강하며,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행복에 대한 답이 보이시나요?

우리가 행복하여지려면 지금 속해 있는 관계가 건강해야 합니다.

결혼을 해도 고독할 수 있고 수많은 관계 속에서도 외로울 수 있음을 우리는 익히 잘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관계의 양이 아니라 관계의 질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의미합니다.

 

 

 

 

오늘, 가족들과 행복하여지려면 맞벌이 육아를 하는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저는 끊임없이 가족들에게 행복을 물어봅니다.

“지금 행복해? 뭘 하면 행복하겠어? 뭘 먹으면 행복하겠어?”

아이에게, 남편에게, 또 나 자신에게 무엇을 할 때 행복한지 물어보고 하나씩 실천해보려고 노력합니다.

 

2. 행복이라는 저금통에 차곡차곡 행복을 쌓아가려 하지요.

행복 저금통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분 좋은 일이 생길 때마다 저금통에 일정 금액의 돈과 무슨 일로 행복했는지 메모를 함께 넣어둡니다.

연말에 그 저금통을 열어서 1년동안 우리 가족에게 생긴 행복한 일들을 회상합니다.

모은 돈은 기부를 하거나, 가족 외식 비용으로 사용하고요.

 

3. 있음에 감사하는 삶도 잊지 않습니다.

작은 것을 얻게 되도 꼭 그것에 감사하도록 알려주었죠.

“아빠, 이거 사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가 흐르는 삶은 늘 만족감을 주니까요.

 

 

 

 

"행복은 항상 거기에 있었으니까. 그것을 잘 알아보고 소중히 여기렴.
결국 행복은 너에게서 시작되는 거니까."

 

결국 행복은 지금 우리에게 있음을 기억하고 행복한 맞벌이 육아를 하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콩콩샘의 놀이학교는 늘 열려 있어요.

자녀 양육에서 궁금한 점이나 그림책 하브루타가 궁금하신 분들은 언제든 댓글 주세요.

 

온라인 강좌로도 함께 하실 수 있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